
2025년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활성화사업
"사시사철 굿이여" 도둑잽이굿
봄, 여름, 가을, 겨울 사시사철 대표적인 농악 연행을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옵니다!
사라져가는 농악의 다양한 모습을 사시사철 대표적인 농악 연행을 '보며' 즐기는
굿 공연 시간을 가지고 광산농악의 맛과 멋을 전승자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깊이 있게 들여다보며 '듣는' 광산농악 데다보기 시간이 있습니다!
식전공연 - 내드름1585 "버나놀이" -
2015년 8월 재활이 필요한 5명의 장애우들로 구성하여 출범한 시기를 상징하는 '1585'와
내는 음이라는 순 우리말인 '내드름'과 합쳐 '내드름1585'라 하였다.
'내드름 1585'는 국악장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국악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심리치료와 창의적인 활동의 가능성을 회복하고 성장하며 삶을 질을 높이고자 한다.
문화공연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벽을 허물고 예술로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공감하며,
장애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꿈을 실현해가는 인격체로서, 세상과 소통해 가는 길을
무대를 통해 만들어가며 다른 장애인들에게 희망의 빛이 되기를 소망하며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공연1. 버나놀이 (김동건, 박동혁, 정다은, 조정현, 천우형)
공연2. 소고놀이와 아리랑 (김영숙, 김동건, 박동혁, 정다은, 조정현, 천우형)

광산농악 데다보기 - 광산농악의 설소고놀이 -
데다보기는 들여다본다는 전라도 토속말로
광산농악의 맛과 멋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시간인데요!
이번 주제는 설소고놀이로 광산농악의 설소고놀음은 남성적이면서도 힘이 있고, 여유로우면서도 가락 넘김이 확실하다.
특히 가락마다 매도지를 꼭 하고 다음 가락으로 넘기는 확실한 체계가 있는 소고춤으로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다.
농악의 꽃이라 불리는 설소고놀음을 정영을 이수자와 함께 풀어본다.

사시사철 굿 공연 -도둑잽이굿-
농악의 과정 중에 잡색놀이의 일종인 도둑잽이굿은 탈을 쓰고
잡색들의 익살스런 대화와 연희로 장내를 웃음바다로 만들어내는 풍자극으로
마을사람들이 공동체를 훼손하는 도둑을 잡아 죽여 본보기를 보여주고,
다시 살려내어 화해하는 단결과 공동체를 확인하는 굿입니다.
잘못한 이를 공적시스템인 관아에 고하여 벌을 받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가짜 도둑을 내세워
공동체 자체 내에서 해결하는 것으로, 걸핏하면 법정 다툼으로 가서 평생 신뢰가 깨지는
현시대에 잡색극을 통한 해원상생은 옛것으로 부터 배워야할 소중한 우리의 자산이다.

일시 : 2025. 10. 25(토) 14:00
장소 : 광산농악 전수교육관
문의 : 062-960-9987 / 010-2658-3285

